top of page
검색


(디지털)인문학 연구를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2 / 김병준
(디지털)인문학 연구를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21) XML의 이해 앞선 글에서는 (디지털)인문학 연구를 위한 공공데이터의 중요성과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을 소개하였다. 3단계 이상의 기계 가독형(machine readable)...

한국연구원
2023년 2월 20일2분 분량


(디지털)인문학 연구를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1 / 김병준
(디지털)인문학 연구를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11) (디지털)인문학 연구와 공공데이터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 전통적인 인문학 연구와 다른 지점은 ‘전자화된 인문 데이터’의 활용 유무이다. 물론 기존 인문학 연구에서도...

한국연구원
2023년 2월 2일3분 분량


영국 지성사 연구의 혁신과 전파④: 초기 계몽주의 비판; 지성사와 여성주의 연구 / 이우창
레비틴의 『고대의 지혜』: ‘잉글랜드계몽주의’ 테제의 비판 드미트리 레비틴(Dmitri Levitin)의 『새로운 과학의 시대에 고대의 지혜: 1640년에서 1700년까지 잉글랜드의 철학사들』(Ancient Wisdom in the Age of...

한국연구원
2023년 2월 2일6분 분량


양산된 논문과 지성사 자료로서의 KCI-2 / 김병준
1. 들어가며 지난 편에는 지성사 혹은 지식사회학의 연구 대상으로서 KCI 논문 서지 데이터를 소개하였다. 이번 편에서는 실제 어떤 방식으로 KCI 논문 서지 데이터를 확보하고, 다른 데이터와 연결하는 방법을 다뤄볼 예정이다. 아무쪼록 아랫글이...

한국연구원
2023년 1월 11일3분 분량


영국 지성사 연구의 혁신과 전파③: 계몽주의 연구의 ‘종교적 전회’, 그리고 잉글랜드계몽주의 / 이우창
지난 연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난 반세기 간 유럽 계몽주의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첫째, 프랑스 및 독일을 넘어 유럽 각지로부터 다양한 양태의 계몽주의를 발굴하는 방향으로의 지리적인 확장이다. 둘째, 철학(자) 중심의...

한국연구원
2023년 1월 11일7분 분량
bottom of p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