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보리밭 - 민주주의를 기념하여 / 손영식
1) 보리밭 위로 불쾌한 얼굴을 쳐들고 째려보는 인물, 대체 그는 누구인가? 작가는 누구인지 말하지 않는다. 감상자가 마음대로 지으라는 것이다. 나는 그를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민주주의는 심성이 천사처럼 고운 백성이 하는...

한국연구원
2023년 8월 23일4분 분량


망하는 대학의 가짜 교수들 / 고부응
12세기경 유럽에서 시작된 대학의 역사에서 대학이 순수하게 진리를 추구한 적도 없지만 현재만큼 진리 추구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적도 또한 없다. 물론 대학의 도서관에는 공부하는 학생들로 넘쳐나고 교수들은 엄청난 양의 논문을 쏟아내고 있다. 그러나...

한국연구원
2023년 7월 21일5분 분량


우리에게 ‘철학’은 사치일까? / 손영식
1. 철학이라는 학문의 핵심은 형이상학(形而上學), 즉 세계관이다. 이 형이상학이 맞는지 따지는 인식론, 그것을 개인의 삶의 규칙에 적용한 윤리학, 사회와 국가에 구현한 사회 철학과 역사 철학, 그리고 이성적 추론의 규칙인 논리학 등이 철학을...

한국연구원
2023년 5월 25일3분 분량


영국 지성사 연구의 혁신과 전파⑥: 『새뮤얼 리처드슨과 초기 여성주의 도덕 언어』 / 이우창
지도와 공백 오랜 여정을 간략히 정리하자. 첫 번째 기고에서 네 번째 기고 앞부분까지의 연재분은 케임브리지 언어맥락주의 지성사의 혁신이 지난 반세기간 18세기 영국사와 계몽주의 연구를 어떻게 바꾸었는지, 특히 “잉글랜드계몽주의” 범주의 성립과...

한국연구원
2023년 3월 31일9분 분량


영국 지성사 연구의 혁신과 전파⑤: 18세기 영국소설사의 궤적과 맹점 / 이우창
이언 와트와 “근대소설의 발흥” 테제 20세기 후반 18세기 영국소설사 연구의 핵심구도는 이언 와트(Ian Watt, 1917-99)가 제출한 “근대소설의 발흥” 테제와 이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려는 다른 영문학자들의 응답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한국연구원
2023년 2월 23일7분 분량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