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신유학의 연구 방법 반성 / 손영식
나는 45년 넘게 중국 철학을 연구했다. 나의 연구 방법은 첫째, “한문 원전을 읽자, 남이 쓴 논문은 2차 자료일 뿐이다.” 둘째, "나의 상식과 이성의 관점에서 보자." 나는 학부에서 주로 서양 철학을 배웠고, 현대 자연과학을 나름 잘 알고...

한국연구원
2023년 11월 17일6분 분량


실학 너머 / 강명관
1. 이것은 실학인가? ①노비를 양인으로 할 것, ②3정승, 6판서도 양․천민 중에서 골고루 담당하기로 할 것, ③유학(幼學)․교생(校生)․무학(武學) 등 한유(閑遊)한 양반들에게 군역을 부과할 것, ④궁방(宮房)과 권세가의 농장을 몰수하고 이를...

한국연구원
2023년 10월 13일6분 분량


문헌의 물질성을 찾아서 ①: 문헌학의 개념과 고서와의 만남 / 노경희
처음 <한국학 연구의 최전선>의 원고 의뢰를 받고는 무엇을 써야 하나 한참 고민했다. 담당 선생님으로부터 ‘한국학과 관련된 나의 연구 분야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글’을 써 줄 것을 부탁 받았는데, 순간 한국학과...

한국연구원
2023년 10월 13일5분 분량


갑판 아래 사람들 / 강명관
임진왜란은 이순신과 그의 함대가 거둔 놀라운 승리로 기억된다. 교과서에 실리고, 소설로, 드라마로, 영화로 제작되어 그 승전서사는 국민의 교양이 된 지 오래다. 그런데 다음 자료는 어떤가. 호남 지방 사정을 말하자면, 주사(舟師)가 소속된 지방의...

한국연구원
2023년 9월 13일5분 분량


세종 시대의 군도(群盜) / 강명관
1. 1426년 방화로 서울의 가옥 2천여 호가 연소된다. 함길도 북청, 길주, 영흥 출신인 장원만과 그의 노비 진내, 근내, 석이, 백성 이영생, 김천용, 역자(驛子) 김영기 등 십수 명의 군도(群盜)가 범인이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체포된...

한국연구원
2023년 8월 23일3분 분량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