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Deep Learning in Korean Studies / Wayne de Fremery
Deep Learning in Korean Studies[1] What counts as deep learning in Korean studies? This is a usefully tricky question, especially when...

한국연구원
2024년 7월 11일16분 분량


한국학에서의 딥러닝 / 웨인 드 프레메리
번역: 윤성진( albert_yoon@naver.com ) 감수: 오영진(michidoroc@hanmail.net) 허민재(hmj2341@naver.com) 한국학에서의 딥러닝 [1] Deep Learning in Korean Studies...

한국연구원
2024년 7월 11일13분 분량


세계문학의 시차, 혹은 세계-외-문학을 향하여 ― 비동시성의 시대와 한국문학의 자리 / 최진석
1. 세계와 한국, 그리고 문학 현재 나는 서울 소재 한 대학의 문예창작학과에서 비평과 문화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본래 전공에 관해 묻는다면 ‘러시아학’이라 답하는 게 옳겠다. 노어노문학과 학부를 나와서 대학원도 마치고, 모스크바에서...

한국연구원
2024년 7월 2일6분 분량


미국의 한국인 교수, 한국의 미국인 교수 / 유상근
필자는 현재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매리스트 대학의 영문과에서 교수로 일하며 미국의 대학생들에게 영미문학, 특히 영미권 SF소설과 대중문화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한국인인 내가 미국의 대학생들을 가르치며 느낀 점 중 하나는 어려서부터...

한국연구원
2024년 6월 25일11분 분량


한국 종교학의 전개와 과제(3) / 임현수
80년대 이후 한국의 종교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다. 정체성 위기에서 벗어난 한국의 종교학은 이때를 기점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저술, 학위논문, 번역서 등 연구물이 증가하였고, 연구자들의 전공 영역도 다변화하는...

한국연구원
2024년 6월 21일5분 분량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