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한강의 문학을 읽는 세 가지 키워드 / 조강석
이미지-사유 한강은 대학 재학 중에 교내에서 주최하는 윤동주 문학상에 시로 당선했다. 그리고 잘 알려진 것처럼 1993년에 『문학과사회』에 시를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등단했고 이듬해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었다. 물론 먼저 시로 등단한 후 소설...

한국연구원
2월 1일9분 분량
281
0


한강론 – 슬퍼하는 신의 세계 / 최다의
1. ㉠ 이 세계에는 악과 고통이 있고, 거기 희생되는 무고한 사람들이 있다. 신이 선하지만 그것을 바로잡을 수 없다면 그는 무능한 존재이다. 신이 선하지 않고 다만 전능하며 그것을 바로잡지 않는다면 그는 악한 존재이다. 신이 선하지도,...

한국연구원
1월 24일7분 분량
223
0


『채식주의자』란 유해도서 / 마준석
작가 한강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그간의 문학적 성취가 다시 한번 상징적으로 인정받은 것이기에 축하드리고 진심으로 부럽다. 여기서 노벨상 받은 얘기를 더 하려는 것은 아니고, 한강 작가의 작품들이 주목을 받으면서 곁가지로 일어난 하나의 논쟁을 ...

한국연구원
2024년 11월 8일1분 분량
307
0


우리가 지켜야 하는 것 / 김영실
본 기고글은 BTS로 대변되는 K라는 상징적 자산의 퀴어성, 특정산업의 주체가 아닌 다중적 주체인 아미의 힘에 대해 논평하기를 바라는 편집자의 의뢰에 의해 작성된 글이지만, 필자의 얕은 지식으로 인해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논하게 됨을 미리...

한국연구원
2024년 11월 7일5분 분량
182
0


한국의 미개(未開) / 윤종환
세계라는 말의 세계 한 이십여 년쯤 됐을까. 집안에 텔레비전 보고 있는 사람 한 명 없는데 덩그러니 화면만 켜져 있는 때가 있었다. 지금은 1인 가정의 가장인 데다 텔레비전이 없이 혼자 산다. 매달 찾아오는 TV 수신료 납부 고지서를...

한국연구원
2024년 11월 4일5분 분량
257
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