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분노와 위선은 같은 것일 수 있다 / 김동규
특별한 이유도 없이 불특정 다수를 향해 폭력을 휘두르는 사건들이 과거보다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최근 사례를 꼽자면, ‘서현역 묻지마 흉기 난동 사건(2023.08.03)’이 있는데, 서현역 앞에서 차량으로 인도를 질주해 사람들을 치고 난 후...

한국연구원
2023년 9월 19일3분 분량
121
0
![과학책으로 수다 떨기: [[생물학적 풍요]] & [[현대사상 – 무지학이란?]] (하) / 박성관](https://static.wixstatic.com/media/e687c0_4e07cd945d2249b68830fcbe945cdf9a~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e687c0_4e07cd945d2249b68830fcbe945cdf9a~mv2.webp)
![과학책으로 수다 떨기: [[생물학적 풍요]] & [[현대사상 – 무지학이란?]] (하) / 박성관](https://static.wixstatic.com/media/e687c0_4e07cd945d2249b68830fcbe945cdf9a~mv2.jpg/v1/fill/w_306,h_229,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e687c0_4e07cd945d2249b68830fcbe945cdf9a~mv2.webp)
과학책으로 수다 떨기: [[생물학적 풍요]] & [[현대사상 – 무지학이란?]] (하) / 박성관
10. 이뿐만이 아니다. 피터 갤리슨이라고 아시는가? 세계적인 과학사학자로 우리나라에도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 시간의 제국들]]과 [[상과 논리 - 미시 물리학의 물질문화]]라는 그의 굵직한 저서들이 번역되어 있다. 앞의 책은...

한국연구원
2023년 9월 13일5분 분량
134
0


안가영론: 세계라는 ‘그릇’과 ‘길’을 잃으며 찾는 플레이어들 / 오영진
작품의 세계가 무엇을 담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할 때, 우리는 예술을 하나의 그릇으로 표현하고 있는 셈이다. 자연스럽게 그릇에 담겨 있는 내용물은 작가의 내면이자 관객을 향한 메시지로 간주하고 작가는 언제나 그 내용물을 성실히 채워 넣어야 한다는...

한국연구원
2023년 9월 12일4분 분량
200
0


라반의 안무학: 움직임의 해부와 해석 / 김보슬
- 2023년 여름 서울에서 만난 국제라반키네토그래피협의회 - 언제부터인가 거리를 걷을 때 사람들의 뒷모습을 유심히 바라본다. 뒷모습에서 저마다의 나이를 느낀다. 연령을 특정하지 않는 차림새. 누구에게나 어울림 직한 배낭을 메고, 청바지를 입고,...

한국연구원
2023년 8월 30일5분 분량
467
0
![과학책으로 수다 떨기: [[생물학적 풍요]] & [[현대사상 – 무지학이란?]] (상) / 박성관](https://static.wixstatic.com/media/e687c0_13f4833fbd324ac1bc82011b721ffb38~mv2.pn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e687c0_13f4833fbd324ac1bc82011b721ffb38~mv2.webp)
![과학책으로 수다 떨기: [[생물학적 풍요]] & [[현대사상 – 무지학이란?]] (상) / 박성관](https://static.wixstatic.com/media/e687c0_13f4833fbd324ac1bc82011b721ffb38~mv2.png/v1/fill/w_306,h_229,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e687c0_13f4833fbd324ac1bc82011b721ffb38~mv2.webp)
과학책으로 수다 떨기: [[생물학적 풍요]] & [[현대사상 – 무지학이란?]] (상) / 박성관
1. 이 책은 주로 동물계에 동성애와 트랜스젠더가 얼마나 차고 넘치는지를 주로 포유류와 조류의 사례로 보여준다. 그리고 과학자와 과학계가 이런 신나는 사실들을 어떻게 감추고 축소시키고 모호하게 표현해왔는지도 말해준다. 이 대목에서 과학자가 아닌...

한국연구원
2023년 8월 22일4분 분량
110
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