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대학도서관 공간과 장서의 변증법 / 이용재
1. 들어가며 까마득한 옛날, 인류가 탄생하였다. 다른 동물에 비하여 나약한 인류가 지구에서 살아남고, 문명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 중 하나로 생각하고 기록하고 전달하는 인류의 집단 생존 전략을 꼽을 수 있다. 인류는...

한국연구원
2024년 4월 26일5분 분량
224
0


종이책, 그 물성적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 / 윤희윤
1. 종이책의 어원과 변용 책은 인류의 기억과 삶, 정신과 문화, 지식 세계가 집적된 매체다. 그 역사를 소급하면 고대 신화에 도달한다. 이집트 신화에서 책은 <그림 1>에서 문자와 지혜의 여신인 토트(Thṓth)의 화신이고 그리스ㆍ로마 신화를...

한국연구원
2024년 4월 12일6분 분량
507
0


새로운 한국학연구를 위하여: 인/문학 위기 속 ‘현대문학자’가 쏘아 올린 ‘선언’ - ‘한국 현대문학자 대회’에 부쳐
2024년 1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 동안 '제1회 한국 현대문학자 대회'가 성균관대에서 개최된다. 한국문학 연구자가 주축이 된 이번 대회는 약 22개 학회, 기관, 학술 단체와 140여명의 발기인이 공동 주최와 후원으로 뜻을 모았다....

한국연구원
2024년 1월 19일3분 분량
396
0


새로운 한국학연구를 위하여: SICSForum은 왜 'SF'를 두 번이나 대주제로 내세웠을까?
성균 국제 문화연구 연례 포럼(SICSForum)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였던 2021년 1월에 첫 회가 열렸고, 지난 2023년 12월 행사는 4회째였다. 1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포스트 문화연구', 2회 ' SF와 지정학적 미학', 3회는...

한국연구원
2024년 1월 19일3분 분량
170
0


지금 교직 사회에 필요한 것은 바로 다정함 / 오란주
고전을 함께 읽는 독서모임, ‘고전살롱’을 운영하고 있다. 독서모임 멤버 중 그 누구보다 책을 열심히 읽고, 서평도 성실하게 작성하고, 독서 토론 시간에는 고개 끄덕이며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에 경청하고 공감해주시는 분이 있다. 토론하는 책 내용...

한국연구원
2023년 11월 7일5분 분량
239
0
bottom of page